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3

ROE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해당 기업의 경영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1년간 자기자본 대비 얼마큼 벌었는지 보여주는 수치. 회사의 수익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중요한 재무 지표. 기업이 주주의 자금(자본)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목차 1. ROE의 계산 2. ROE의 해석 3. RO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ROE의 한계 5. 결론 1. ROE의 계산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X 100 당기순이익 : 모든 비용, 세금 및 이자 지급을 공제한 후 회사가 벌어들인 수익 장부가액(=자기자본) : 회사의 총 자산에서 총 부채를 뺀 값으로, 소유주의 사업체에 대한 잔여 지분을 반영 2. ROE의 해석.. 2024. 2. 19.
PER PER(주가수익비율) 주가수익비율(Per Earning Ratio, 줄여서 PER)은 현재 주식시장에서 특정 기업의 주식가격(주가)이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주당순이익(EPS)은 회사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순이익을 총 발행 주식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목차 1. PER의 계산 2. PER의 해석 3. PER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PER의 한계 5. 결론 1. PER의 계산 PER(주가수익비율)의 계산방법 PER = 해당 기업의 주가 / 주당 순이익(EPS) 2. PER의 해석 높은 PER(주가수익비율) : PER(주가수익비율)이 높다는 것은 투자자들이 회사의 성장 전망에 대해 프리미엄을 지불할 의향이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식이 고평가되었.. 2024. 2. 16.
PBR PBR(Price to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해당 기업의 시가총액을 순자산으로 나눈 수치로, 기업의 상태를 평가하는 지표. 목차 1. PBR의 해석 2. PBR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PBR의 한계 4. 결론 1. PBR의 해석 PBR 1 : 주가순자산비율이 1보다 큰 상태로, 기업의 시가총액이 .. 2024. 2. 7.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양적완화 연방준비제도와 같은 중앙은행이 실시하는 통화정책 수단. 양적긴축과 반대로 경기 부양을 위하여 국채 등 금융자산을 매입하여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정책. 2023.12.29 - [분류 전체보기] - 통화정책 통화정책 통화정책 통화당국,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이 국가 경제의 물가 안정과 성장을 위하여 통화량과 이자율을 관리하고 조절하는 것. 2023.12.26 - [분류 전체보기] - 중앙은행 중앙은행 중앙은행 정부와 iggunothinking.tistory.com 2024.02.01 - [분류 전체보기] - 양적긴축(Quantitative Tightening) 양적긴축(Quantitative Tightening) 양적긴축(QT)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경제가 과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각국의 중앙은행.. 2024. 2. 3.